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53, No. 4, pp.23-38
ISSN: 1226-7147 (Print) 2383-917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Final publication date 26 Jun 2018
Received 14 Nov 2017 Revised 30 May 2018 Reviewed 08 Jun 2018 Accepted 08 Jun 2018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8.08.53.4.23

공공도서관 주변 공공시설이 도서관 서비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이용객을 중심으로

박형준** ; 전선민*** ; 정주철****
The impact of public facilities on the perception of parents visiting public libraries
Park, Hyung-Jun** ; Jun, Sun-Min*** ; Jung, Ju-Chul****
**Ph.D. Student,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Ph.D. Student,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jcjung@pusan.ac.kr

Correspondence to: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cjung@pusan.ac.kr)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ommunity facilities on parents' perceptions of visiting public libraries. Previous research on public libraries has focused on the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including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the space for holding programs in the buildings. Urban planners have also insis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rimary and convenience functions makes libraries work best.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libraries and community facilitie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roximity of park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has an impact on parents' perceptions on visiting libraries with their childre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t 8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from 488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the ordered logit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were more likely to visit public libraries near parks. Therefore, librarians, policymakers, and urban planners should consider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n relation to community facilities/services during the urban planning and design process to encourage the use of public libraries by parents and their children.

Keywords:

Public library, Library planning, Parents, Public facility Planning

키워드:

공공도서관, 도서관 계획, 부모, 공공시설계획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공공도서관은 책을 읽고 대여하는 공간에서 나아가 시민들이 문화와 여가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일찍이 그 변화가 시작되어 공공도서관은 영화와 전시를 보며, 차를 마시고, 다양한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 되었다. 또한 교육, 과학, 문화 영역을 관장하는 국제기구인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는 도서관이 평생학습뿐만 아니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커뮤니티공간이라고 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도「제2차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2014~2018)을 수립하여 도서관 및 독서환경 조성사업으로 가족단위의 독서생활을 증진하고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도서관별 방문자수와 대출인구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에서도 1990년대 후반 공공도서관 이용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동일한 현상을 겪었다. 원인으로 도시화 및 인구구조, 다변화된 생활양식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점, 노후화된 공간, 낮은 접근성 등이었다(신승수 외, 2014).

이에 따라 기존의 ‘공급자 중심’ 계획에서 ‘사용자 중심’의 공공도서관 계획으로 전환되었다. ‘Contemporary Library Architecture’의 저자이자 영국의 저명한 공공공간 계획가인 Ken Worpole은 공공도서관과 같은 공공공간 계획은 단일 건물 및 장소의 형태가 아닌 주변 시설과의 관계적 영역(Public realm)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에 공공도서관을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거점시설로 구축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접근성을 고려하여 입지하도록 정책적으로 장려하였다. 미국과 일본에서도 공공도서관을 다양한 문화 및 여가시설과 연계하거나 복합화하였고, 시민들의 접근성을 위해 도심 혹은 지하철역과 같은 대중교통 요충지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혁신적인 공공도서관을 구성하는 주체로서 어린이들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서관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어린이 참여 프로그램이 많이 구축되고 있다(Bruijnzeels, 2002). 실제로 영유아기 부터 ‘북스타트’와 같은 도서관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부모가 어린자녀들과 함께 도서관을 이용할 경우 성장기에도 도서관을 꾸준히 이용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수연, 2010; 박진숙, 2011). 공공도서관이 생애주기별 평생학습기능을 하는데 있어서의 첫 단추인 어린자녀를 동반한 부모 즉 가족단위의 독서생활을 증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공공도서관의 이용에 있어서 첫 시작점이자 평생 독자의 기반이 될 어린자녀를 동반하는 ‘부모 이용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전술했듯이 향후 공공도서관은 커뮤니티 거점시설이자 복합문화공간으로 보다 다양한 역할과 기능이 요구되므로 주변 공공공간과의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 만족도와 관련하여 내부 시설 혹은 프로그램에 한정되어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는 공공도서관을 기존의 책을 대여하고 읽는 단일 기능을 하는 건축물로 인식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이용의 접근성과 관련된 ‘대중교통시설’과 주변 공공시설로 여가 및 휴식을 할 수 있는 ‘공원’이 부모 이용객의 공공도서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관점과 ‘관계적 영역(public realm)’을 고려하는 도시 계획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이론적 고찰

우리나라 도서관법 제2조 제4항에 의하면 “공공도서관”이라 함은 공중의 정보이용·독서활동·문화 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함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시대적, 세계적, 사회적 변화의 흐름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가치와 그에 대한 기대와 기능이 확대되었다. 산업화로 인한 도시문제를 일찍 경험한 서구사회에서는 공공도서관이 독서활동의 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편의기능을 함께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Jacobs, 1961). 산업화에 따른 도시문제가 발생하는 우리나라에서도 공공도서관의 역할 및 서비스 강화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2015년 「도서관법」이 일부 개정되었고,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2016」도 사회적 수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입지선정 및 검토에서는 도서관의 인지성, 접근성, 지역 내 상업, 문화 등의 다른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도록 하는 지침이 마련되었다.

최근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단일 시설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구성원이 활용하는 거점으로 변화되고 있다. 선진국은 이 흐름을 실제 정책 및 시설 운영에 반영하고 있다. 영국 공공도서관정책은 도시공간정책에 기반하고 있으며 도서관을 공원, 카페, 레스토랑, 상점 등의 일상생활과 결합된 복합공간으로 계획하고 있다(Cabe·Detr, 2000). 뉴질랜드도 공공도서관정책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입지선정부터 함께 고민하고 있다(Auckland Council, 2013).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도시의 중요한 거점 공공공간으로써 도시차원에서의 계획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시계획의 최근 패러다임인 스마트 성장(Smart Growth)에서는 공공도서관과 같은 공공시설의 효율적 배치를 통한 생활권계획을 강조하고 있다(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6). 생활권의 도시 계획적 가치와 의의는 공간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계획단위로 이용되며, 시민생활의 편의를 위한 공공시설 배치의 단위가 된다. 따라서 도시 공간 내 공공시설의 적정한 배치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에 해당 된다(오병록, 2012). 즉 공공시설은 무엇보다 편리한 이용이 우선조건이므로 보도 혹은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전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권 중심의 계획에 강화할 시설로는 근린공원과 대중교통 등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근린공원은 모든 사람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아이들에게는 자유롭게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와 같은 공간이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Jacobs(1961)는 도시계획에서 근린공원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자녀 양육기와 자녀 교육기에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2014년 실시한 국민여가활동 조사를 살펴보면, 지난 1년간 가장 많이 이용한 여가공간으로 ‘근린공원’이 꼽혔으나 가족친화적인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김현경, 2016). 이에 공공도서관을 근린공원과 연계했을 경우 독서와 문화여가활동을 함께 할 수 있는 가족친화적인 공간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다.

둘째, 스마트성장의 6대 원칙중 하나인 TOD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에서는 대중교통중심의 복합개발로 도시 중심시설을 역세권에 입지시켜 접근성을 높여 활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에 있어서 대중교통은 접근성을 강화하여 이용률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원종준‧안건혁(2010)은 연간 공공도서관 이용객이 지하철 등의 공공시설 접근성이 좋은 공공도서관일수록 증가될 수 있다고 하였다. 제도적으로도 도서관법시행령 제17조에 의하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주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공공도서관 계획에 있어서 물리적 측면을 고찰했다면 다음은 이용자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공공시설과의 연계성이 정책 및 계획에서 강화되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객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정책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독서습관이 형성되는 유아의 동반자 역할을 하는 부모의 인식분석이 필요하다.

가장 어린 연령층인 영유아(0-5세)의 독서입문프로그램인 ‘북스타트’ 및 어린이 후속프로그램은 ‘평생 독자’기반을 마련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영유아 및 어린자녀의 경우 부모가 반드시 동반하여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게 된다. 부모는 자녀와 함께 도서관에 와서 책을 읽어주거나 독서방법을 가르쳐 주기도 하므로 어린 자녀의 공공도서관 이용은 부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곽철환‧이정미, 2005). 또한 부모는 자녀와 함께 도서관을 방문하면서 도서관이라는 사회적 공간으로 양육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고 보았다(정미라, 2010). 국제도서관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의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에서도 어린이들과 부모, 보호자들을 위해 다양한 봉사활동을 제공하고, 가족이 지역사회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지원 및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독서문화진흥과 공공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해 가족단위의 독서생활을 증진하고자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2. 선행연구 검토

공공도서관 이용객들에게 공원과 대중교통의 이용이 중요해졌지만, 선행연구는 도서관 내부 시설에 국한되고 있다. 국내 공공도서관 만족도에 대한 측정방법론인 LibQUAL+는 시설을 위한 정책변수가 도서관에서 주요 서비스인 문헌 정보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시설 및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표순희‧차성종, 2009; 차성종, 2011; 성은혜‧김수정, 2015). 특히, 시설특성으로 다루는 공간은 “강의실·내부 환경의 쾌적성, 화장실 청결도, 강의실 냉/난방의 적절성, 책상·걸상의 편리성, 강의실 청결”로 측정되고 있다(오동근·이경훈, 2014).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도서관 5곳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어메니티, 휴식지원, 외부인지의 용이성, 내부인지의 용이성을 만족도 요인으로 사용하고 있다(김혜림 외, 2017). 이와 같은 시설내부에 대한 선행연구는 도서관 공간 구성에서 중요한 요소를 도출할 수 있지만, 시설 외부의 주변시설간의 관계적 배치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외부 공간으로 주요하게 다루는 공원과 대중교통시설에 대한 연구는 실제 이용객의 인식수준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원종준‧안건혁(2010)의 연구는 실제 이용객을 종속변수로 하여 지하철역과의 인접성을 통해 이용객의 정도를 판단하였다. 하지만 이용객 값에는 단순 자료 대출 이용객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서관 시설이 좋아서 오고 싶은 이용객을 포함하기란 어렵다는 측면이 존재한다. 또한 서울시만을 대상으로 하여 부산시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공공도서관과 지하철역의 인접성이 이용객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부산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박진규‧김인(2016)의 연구에서도 지하철 여부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조사하였을 뿐, 인과관계 분석이 이뤄지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더욱이 두 연구(원종준‧안건혁, 2010; 박진규‧김인, 2016) 모두 도서관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이뤄지지 못하였다.

장재일·배웅규(2012)는 단위생활권 중심시설로 유치원과 어린이공원을 설정하였고, 어린이와 부모의 이용을 고려하였을 때 도보로 250m를 적정거리로 보았다. 이는 도시공원의 설치 및 규모의 기준1)에서 어린이공원은 250m이하로 지정한 것에 근거한 것이다. 그렇다면 어린이를 동반한 부모이용객의 공공도서관 이용에 있어서 대중교통이용 접근성 또한 어린이 도보권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평생 독자 기반이 되는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 이용객의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도서관의 만족도는 내부공간에 국한된 것이 아닌 공공도서관 이용의 접근성과 관련된 ‘대중교통시설’과 주변 공공시설로 여가 및 휴식을 할 수 있는 ‘공원’ 중요하다. 특히 도서관의 접근성과 관련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있어서 어린이의 도보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선행연구의 한계점 및 필요성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가설1. 공공도서관 인근 공원은 아이를 데리고 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 공공도서관 인근 지하철역 및 버스정류장은 아이를 데리고 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 만족하는 부모들의 인식에서 인근 공원과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등의 대중교통시설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식 분석을 통해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공공도서관에 대한 도시계획 측면의 정책적 함의를 마련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사례지역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운영 공공도서관 8곳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자료에 의하면 부산광역시의 1관 당 인구수는 9만2368명으로 전국 7개 특별시·광역시 평균 5만274명보다 낙후돼 있으며, OECD권고안인 5만 명 보다 훨씬 높아 인구대비 도서관수가 매우 적다. 이에 부산광역시에서는 2017년부터 2025년까지 29개의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창의성과 상상력의 원천-공공도서관 활성화계획’을 발표하였다. 부산광역시 교육청도 낡은 공공도서관 리모델링을 추진 중이다. 공공도서관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열람실을 축소하고 자료실을 확대하고, 문화단체 혹은 예술프로그램과 연계하는 등 지역사회의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하는 도서관 정책에 따라 향후 신축되거나 리모델링되는 공공도서관계획에 있어서 기존의 단일 건축물중심적인 계획이 아닌 대중교통, 인근 공원과의 연계 등 도시계획 측면을 고려하여 보다 도서관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한 교육청 운영 공공도서관을 사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부산광역시 교육청이 운영하는 공공도서관중 해운대·구포도서관, 영어분관을 제외하고는 20-30년을 바라보는 도서관이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안전등급의 경우에는 최하 C등급으로 어느 정도의 기능은 유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설의 노후도보다 기존의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였다.

설문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표본은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다. 도서관 선정은 규모에 따른 분류, 준공연도에 따른 분류, 시설 보수 유무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규모에 따른 분류는 문화관광부 매뉴얼에 따라 규모 3,300㎡ 이상인 유형-1로 분류하였으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유형-2로 분류하였다. 유형-1은 4개 도서관이며, 유형-2는 10개 도서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준공연도가 오래된 순으로 설문조사대상 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연식이 오래된 도서관일수록 최근 공공도서관에서 요구되는 수준과는 동떨어져있었다. 이에 따라 2000년 전후인 비교적 최근에 건축된 공공도서관인 해운대도서관, 영어도서관과 이미 재건축중인 구포도서관, 수정도서관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시설보수의 유무를 검토하였다. 현장조사 및 관계자면담 결과 구덕도서관은 리모델링 공사로 인하여 운영이 중지되었으며, 부전도서관은 리모델링 준비로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8개의 공공도서관(시민, 중앙, 반송, 우동, 서동, 사하, 연산, 명장)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 자료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변수는 Table 2와 같으며, 종속변수는 이용자들이 인지하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만족도이다. 만족도를 묻기 위한 질문은 공공도서관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설문하였다. 5점 척도의 단일 문항으로 공공도서관 이용만족도를 측정하였다.

Variables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공공도서관 주변 공공시설 중 여가 및 휴식기능을 할 수 있는 ‘공원’과 접근성과 관련된 교통시설로 ‘지하철역 및 버스정류장’이다. 토지이용과 교통간의 연구에서도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사람들의 보행을 늘리는 변수로서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Bartholomew and Ewing, 2011). 또한, 지하철역뿐 아니라 버스정류장도 도시의 공간구조를 측정하는데 활용되고 있다(김승남 외, 2009).

첫째, 공공도서관의 주변 공공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공공도서관의 접근성을 분석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가까운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조사하였다.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은 각각 공간정보포털시스템 및 부산버스정보시스템을 통해 최신 자료를 구득하고, 공공도서관과 함께 GIS에 지오코딩(Geocoding)하였다. 이후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서관과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사이의 직선거리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GIS프로그램을 사용한 이유는 인터넷 지도로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도서관 주변 공공시설로 공원의 유무를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사례로 삼은 도서관 중 공원이 있는 곳은 중앙, 연산, 명장도서관이며, 지하철역과 인접한 곳은 반송, 사하도서관이다.

둘째, 개인특성과 시설특성으로 나누어 통제변수를 조사 및 측정하였다. 개인특성으로는 성별(여성), 연령, 학력, 이동시간,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참여를 살펴보았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용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연령의 경우, 연령이 많은 사람일수록 도서관의 변화가 없음을 인식했을 것이므로 이용만족도가 낮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학력은 높을수록 다양한 매체를 접하여 의식 수준이 높기 때문에 학력이 높을수록 음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도서관까지의 이동시간이 많이 걸릴수록 만족도는 현저히 낮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참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받았을 때 나타나는 만족도를 반영하기 위해 활용한 통제변수이다. 이에 설문조사 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참여여부를 활용하였다.

시설특성은 용도구성의 적절성, 어린이 놀이공간에 대한 변수를 조사 및 측정하였다. 이는 도서관의 내부 공간계획을 연구한 김혜림·이정우·신재억(2017)의 어메니티 및 휴식지원, 외부인지의 용이성, 내부인지의 용이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용도구성의 적절성부문 항목은 비효율적인 공간구조, 자료수장 공간 부족, 문화교육 공간 부족, 폐쇄적인 격실구조, 쾌적한 독서공간부재, 이용자 휴게 공간 부족, 새로운 공간에 대한 요구, 이용편의 및 접근성 향상 등의 8가지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노지현 외, 2017). 이 항목은 도서관 실무자 면담 및 현장조사를 통해 문헌정보학 전문가가 평가하였다. 또한, 시설에 대해서 어린이를 위한 휴게공간이 충분한지 평가하는 문항을 설문하였다. 이 변수는 일반인들과 다른 어린이의 활동환경을 고려한 휴게공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시 응답자의 평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순서형 로짓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종속변수가 5점 척도로써 순서형 변수이기 때문이다.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할 경우 과대 추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로짓분석이 사용되어야 한다(Gujarati and Porter, 2009).

본 연구에서는 로짓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총 3가지 모형을 추정하였다. 첫째모형은 개인특성에 대한 통제변수만을 사용한 것이다. 둘째는 개인 및 시설특성에 대한 통제변수로 구성된 모형이다. 세 번째 모형은 인근 공원 및 교통시설을 고려하였으며 부모 이용객에 대해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원 및 교통시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부모 여부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아동을 동반하였는지 설문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용객을 구분하였다.


Ⅳ. 분석결과

1. 기술통계

현재 공공도서관 이용에 대한 만족도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종속변수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인식과 관련하여 전체 응답자의 만족 및 매우 만족 비율이 5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부모 이용객의 경우 51.6%의 만족 혹은 매우 만족의 응답 비율이 나타났다.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실내‧외에 위치하는 놀이공간에 대해 응답자들의 14.0%만이 만족 혹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이용객만을 별도로 분리한 경우에는 2.1%로 만족 비율이 나타났다. 또한 사례지역의 공공도서관의 공간효율성을 기준으로 응답자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부적합요소가 5개 이상인 도서관(명장, 사하, 서동, 연산)에서 48.6%가 조사되었으며, 부모 이용객 중에서 명장, 사하, 서동, 연산 도서관에서 조사된 비율은 34%였다.

Descriptive Statistics

주변 공공시설에 대한 변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원이 인접한 공공도서관(명장, 연산, 중앙)에서 조사된 응답자는 237명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이용객의 응답자에서는 33명이 조사되었다. 공공도서관과 지하철역간 거리의 경우, 전체 응답자에서는 평균 906.82m이며, 부모 이용객의 경우 760.41m로 나타났다. 버스정류장의 평균이 전체 응답자의 경우 95.11m 이며, 부모 이용객의 경우 98.32m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이 264명으로 5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이용객의 경우 64명으로 66%의 비율이었다. 연령의 경우, 4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10대, 20대, 30대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 이용객의 경우는 40대, 30대, 50대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 대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경제적인 특성은 공공도서관의 주요 이용객이 대졸이상의 젊은 주민들인 점을 보여준다. 공공도서관까지의 이동시간을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의 39%가 20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이용객도 41.3%의 비율로 나타났다.

2. 도서관 인식에 대한 영향 분석

본 연구는 주변 공공시설이 부모이용객의 공공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추정하였다(Table 4). 이를 위하여 사회인구학적인 특성, 시설특성, 도시계획 특성의 변수를 추가하면서 추정하였다.

Regression result

모형 1은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의 통제변수만을 적용한 결과이며, 모형 1의 적합도는 카이제곱 값이 24.932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절편모형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약 2.1-5.6%로 나타났다. 모형 1의 추정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도서관 시설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0.213, p-value < 0.01). 이는 현재 방문하는 이용객들이 40대인 점과 도서관 건축물의 연식을 고려해본다면, 주 이용객들의 유년기부터 현재까지 도서관 시설의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 이러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모형 2는 시설특성에 대한 통제변수를 추가한 모형이다. 모형 2의 카이제곱 결과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58.519, p-value < 0.01). 모형 2에서는 문화프로그램의 참여가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도서관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뜻한다(B=0.473, p-value < 0.05). 모형 2의 설명력은 5.0%-13.1%로 다소 증가하였다. 실내·외 어린이 놀이공간에 대하여 이용객이 느끼는 만족도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보여주었다(B=0.634, p-value < 0.01). 이와 같은 내용은 문화체육관광부(2016)에서 강조하는 실내디자인 등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평가한 시설의 비효율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3은 도시계획특성을 함께 고려한 모형이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모형의 적합성(카이제곱: 60.703, p-value < 0.01)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3의 설명력은 5.2-13.5%로 나타났다. 모형 3-1은 부모이용객만 별도로 분석한 모형이다. 카이제곱 검정결과 모형의 적합성은 유의하게 나타났다(카이제곱: 16.595, p-value < 0.10). 모형 3-1의 설명력은 7-17.5%로 나타났다.

모형 3 분석결과에서는 모형 1과 모형 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연령, 문화프로그램 참여, 실내‧외 놀이공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달리 부모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모형 3-1은 연령, 공간적 효율성에 대한 변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수준과 실내·외 어린이 놀이공간은 부모 이용객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앞서 연구방법에서는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을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추정 결과에 따르면 부모 이용객들의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한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는 실내·외 어린이 놀이공간의 이용이 많을 것이므로 이러한 시설이 도서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도시계획 특성 변수에 대한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형 3에서 도시계획 특성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모형 3-1에서는 공원의 인접성이 부모 이용객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B=0.838 p-value < 0.10). 이는 어린이가 도서관 내부에만 머무르지 않고 공원에서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으므로 만족도를 높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즉 Jane Jacobs의 이론대로 공공도서관이 도서관 기능과 더불어 다른 기능과 결합될 때 더욱 좋은 공간이 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나마 보여준다. 또한 실내·외 어린이 휴게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용만족도가 높다는 점은 어린이를 동반한 이용객과 그렇지 않은 경우 동일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공도서관에서 지하철역까지의 거리변수는 모형 3 및 모형 3-1의 결과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진규·안건혁(2010)의 연구에서 지하철역이 이용객 수 증가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역과의 거리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진규·안건혁(2010)의 연구대상지가 서울시로 한정되어 있어 부산시의 지형적 특성상 경사지가 많은 점과 공공도서관의 입지 선정 시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고 주로 산과 경사지에 위치시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어린이의 도보권을 고려하였을 때 지하철역이 250m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반송도서관이 유일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공도서관의 입지선정 시 어린이의 도보권을 고려한 대중교통이용의 접근성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위한 초석이 되는 집단인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 이용객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있어서 주변 대중교통시설과 공원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라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공간이자 핵심적인 커뮤니티 공간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역할과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공공도서관이라는 단일건축물에 한정된 이용 만족도가 아닌 대중교통시설과의 접근성 및 인근 공원과의 연계 여부 등 도시 계획적 측면의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앞서 제시한 2개의 연구가설과 관련하여 이용자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인근 공원이 아이를 동반한 부모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만족하였다. 전술하였듯이 공공도서관은 여가 및 문화, 휴식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 되어가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분석 결과가 주변 시설과의 관계적 배치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가 되는 것이다. 둘째, 공공도서관 인근 지하철역 및 버스정류장은 아이를 동반한 부모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만족하지 않았다. 이는 부산광역시의 경사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과 최초 공공도서관 계획 시 대중교통이용의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중요한 커뮤니티 거점공간으로써 도시차원에서의 계획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공급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 측면에서 요구되는 기능과 역할에 맞는 계획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즉 일상 속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과 연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주변과의 관계적 영역(Public Realm)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어린이의 이용측면에서 도보권을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도서관 인근에 공원이 위치한 명장, 연산, 중앙도서관 같은 경우 도서관장기발전계획 수립 시 도시기본계획을 비롯한 도시계획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서관 운영을 위해 수립하는 도서관발전계획에서 도시기본계획의 부문별 계획과 연계할 수 있는 지침의 개발 및 수정, 보완이 시급하다. 둘째, 도시계획분야에서도 공공도서관계획과의 연계 강화 및 개선이 필요하다. 도서관 입지선정부터 공공도서관과 인접한 공원을 연결하기 위한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도서관발전계획과 도시기본계획과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도시계획-공공도서관 간의 연계를 위해서는 각 부처의 협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현재 문화관광체육부가 도서관 건립, 운영, 리모델링에 대한 매뉴얼을 관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도시계획 측면의 입지에 관한 의견을 위한 전문가의 역할 및 목소리가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구성에서 도시계획관련 위원은 단 1명으로 공공도서관을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거점시설로써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국토 및 도시계획 전문가들이 공공성이 강한 도서관 건립 및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제안이 보다 합리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첫째, 어린이에 대한 설문조사 수행이다. 어린이들이 어떻게 생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가 본 설문문항을 바탕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도서관 유형에 대한 조사를 통해 도서관 특성을 변수로 할 수 있는 모형의 설계 및 인식 조사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도서관 변화에 따른 패널자료 구축 및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 복지, 건강패널에 대해서는 인식조사 자료가 구축되는 반면 문화 분야에 대해서는 사회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조사가 1회성에 그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국 단위의 패널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공공도서관 주변 공공시설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조사이다. 도시계획에서는 다양한 교통수단을 마련하여 주거와 업무 및 상업시설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이들 시설에 대한 질적인 평가와 연계되어야 한다. 다섯째,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만족도를 다룸에 있어서 하나의 종속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질문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Notes

주1. 국토교통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6조 관련하여 도시공원의 설치 및 규모의 기준에서 어린이공원의 유치거리는 250m이하, 근린공원은 500m이하로 명시되어 있다.

References

  • www.libsta.go.kr
  • http://www.ifla.org
  • 곽철완, 이정미, (2005),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어린이 부모의 의식조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p155-176.
    Chulwan Kwak, Jeongmi Lee, (2005),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Children Library : Perception of the Children Par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4), p155-176.
  • 김수연, (2010), “공공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와 북스타트의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p333-352.
    Soo-Yeon Kim, (2010), “An Analysis on Relations Between the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and Bookstart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p333-352. [ https://doi.org/10.4275/KSLIS.2010.44.4.333 ]
  • 김승남, 이경환, 안건혁, (2009), “압축도시 공간구조 특성이 교통에너지 소비와 대기오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4(2), p231-246.
    Seungnam Kim, Kyunghwan Lee, and Kunhyuk Ahn, (2017), “The Effects of Compact City Charactersistics on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and Air Qual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2), p231-246.
  • 김현경, (2016), 「용산공원내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Hyunkyung Kim, (2016), A Preliminary Study on Basic Concept of Cultural Complex within Yongsan Park,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 김혜림, 이정우, 신재억, (2017), “울산 5개구 공공도서관 공간계획 특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요인분석 및 분산분석을 활용한 도서관 설계요소의 공공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3(5), p41-50.
    Haelim Kim, Jeongwoo Lee, Jaieok Shin, (2017), “User’s Satisfaction Influenced by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Libraries in Ulsan - An assessment of Public Character of the Librarie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ANOV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3(5), p41-50. [ https://doi.org/10.5659/JAIK_PD.2017.33.5.41 ]
  • 노지현, 이은주, 조용완, (2017), “공공도서관 리모델링을 위한 타당성 연구 : 부산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 p209-233.
    JeeHyun Rho, EunJu Lee, and YonWan Cho, (2017), “A Feasibility Study of Public Libraries Remodeling :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p209-233.
  • 대한민국 정부, (2018), 「도서관법(법률 제15167호, 2017.12.12., 일부개정) 및 동시행령(대통령령 제28211호, 2017.7.26., 타법개정)」, 세종.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8), The Library Act (Act No. 15167, Dec. 12, 2017 Partial Amendment), and the Enforcement Decree (Presidential Decree No. 28211, July 26, 2017, Revision of other Act), Sejong.
  •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14-2018」, 세종,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Sejong,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6), 「도시계획론」, 서울, 보성각.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6), Introduction to Urban Planning, Seoul, Bosunggak.
  • 문화체육관광부, (2016),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박진규, 김인, (2016),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지리적 접근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지방정부연구」, 20(3), p191-221.
    Jingyu Park, and In Kim, (2016), “An Analysis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Area and Related Implications: The Case of Busa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3), p191-221. [ https://doi.org/10.20484/klog.20.3.10 ]
  • 박진숙, (2011), “유아기 독서교육이 향후 독서습관 및 도서관 이용습관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64, p85-129.
    JinSook Park, (2011), “A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Reading Habits and Library Using Habits through Read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the Public Librari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Digital Library, 64, p85-129.
  • 성은혜, 김수정, (2015), “LibQUAL+를 적용한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4), p29-53.
    Eunhye Seong, and Soojung Kim, (2015),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Children"s Libraries Using LibQU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4), p29-53. [ https://doi.org/10.3743/KOSIM.2015.32.4.029 ]
  • 신승수, 임상진, 최재원, (2014), 「슈퍼 라이브러리, 서울, 사람의 무늬.
    SeungSoo Shin, SangJin Lim, and JaeWon Choi, (2014), Super Library, Seoul, Saramui Munui.
  • 오동근, 이경훈, (2014),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겨울방학 프로그램 참여 초등학생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p137-157.
    Donggem Oh, and Gyeonghun Lee, (2014), "Analysis on the User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Winter Va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t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p137-157. [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137 ]
  • 오병록, (2012), “생활권 이론과 생활권계획 실태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13(4), p1-20.
    Pyong Rok Oh, (2012), “A Study on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and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Unit Plan : Focused on the Neighborhood Unit Plan in Urban Master Plans,”, Seoul Studies, 13(4), p1-20.
  • 원종준, 안건혁, (2010), “공공도서관 입지 및 시설특성이 이용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6(2), p79-86.
    Jongjun Won, and Kunhyuck Ahn, (2010), "The Effect of Locationa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n Public Library Use -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2), p79-86.
  • 이현정, 남영준, (2015),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기대수준에 관한 연구: 고양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1), p43-63.
    Hyunjung yi, and Youngjoon Nam, (2015), "A Study on the Expected Level of Users of the Public Library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of Goya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p43-63. [ https://doi.org/10.16981/kliss.46.1.201503.43 ]
  • 장재일, 배웅규, (2012), “단위생활권 설정과 생활기반시설 계획을 통한 일반노후주거지 관리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7), p235-242.
    Jang, Jae-Il, Bae, Woong-Kyoo, (2012), A Proposal for the Neighborhood Unit and Neighborhood Scaled Infrastructure in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7), p235-242.
  • 정미라, (2011), “어린이도서관에서의 영유아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Mira Jeong,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Infants and Preschoolers in Children's Library”, Ph.D.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차성종, (2011),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2010 공공도서관 운영 평가 이용자만족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8(1), p285-308.
    Sungjong Cha, (2011),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Us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1), p285-308. [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285 ]
  • 표순희, 차성종, (2009), “공공도서관 평가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p329-350.
    Soonhee Pyo, and Sungjong Cha,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er Satisfaction Indicators for Public Library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p329-350. [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329 ]
  • Auckland Council, (2013), Auckland Libraries Te Kauroa–Future Directions 2013-2023, Auckland, Auckland Council.
  • Bruijnzeels, Rob, (2002), “Creating Library Spaces: Libraries 2040”, 68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Report, Scotland, Glasgow.
  • Bartholomew, Keith, and Reid Ewing, (2011), "Hedonic Price Effects of Pedestrian- an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26(1), p18-34. [https://doi.org/10.1177/0885412210386540]
  • Cabe·Detr, (2000), “By Design: Urban Design in the Planning System”, England, Thomas Telford.
  • Gujarati, D. N., and D. C. Porter, (2009), Basic Econometrics, New York, McGraw-Hill.
  • Jacobs, Jane,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Inc. [https://doi.org/10.1002/9781119084679.ch4]
  • Worpole, Ken, (2006), “The Social Dimension of Urban Design” in Urban Design Futures, Malcolm Moor edited by, and Jon Rowland, p112-117, London, Routledge.

Table 1.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Library Name Year Safe Grade Floor Area Type Sample
Simin 1982 B 12,513 1
Joongang 1989 B 6,144
Haeundae 2010 N.A 8,555
Gupo 2006 A 7,402
Gudeock 1979 N.A 1,314 2
Bujeon 1982 C 2,704
Bansong 1978 B 1,802
Udong 1982 B 1,496
Seodong 1983 B 1,071
Saha 1984 B 1,716
Yeonsan 1987 B 1,370
Myeongjang 1994 A 1,699
Sujeong 1999 A 1,462
English 2009 N.A 785
N.A: Not Available

Table 2.

Variables

Variables Description; Type Sign
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Overall service satisfaction what you experienced at the library.(1-5); Ordinal
Control variables
 Personal characteristics
Female Men(0), women(1); Dummy +
Age 10s, 20s, 30s, 40s, 50s, 60s, 70s over; Ordinal -
Education Elementary graduation, middle school graduation, high school graduation, university graduation, graduate school graduation; Ordinal -
Travel time House-library travel time (under 10min, 10-20min, 20-30min, 30-1h, 1h over); Ordinal -
Culture program participation Participation on program provided by libraries; Dummy +
 Facility characteristics
Indoor/outdoor activity Space for children There are sufficient spaces for children indoor or outdoor in the library.(1-5); Ordinal +
Space Inefficiency Expert assessment score on space in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in Noh et al(2017); Continuous -
Independent variables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Proximity of neighborhood park There is a park near the library.; Dummy +
Distance to subway station from a library Distance to subway station from a library; Continuous -
Distance to bus stop from a library Distance to bus stop from a library ; Continuous -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Variables All Parents
N % N %
Satisfaction
(Dependent variable)
1 3 0.6 0 0
2 25 5.1 11 10.9
3 163 33.4 35 34.7
4 170 34.8 31 32.0
5 115 23.6 19 19.6
Missing 12 2.5 1 1.0
Indoor/Outdoor activity space for children 1 59 12.1 26 26.8
2 166 34.0 44 45.4
3 179 36.7 22 22.7
4 57 11.7 2 2.1
5 11 2.3 0 0
Missing 16 3.3 3 3.1
Space inefficiency 2 60 12.3 7 7.2
3 60 24.6 11 11.3
4 131 26.8 46 47.4
5 127 26.0 16 16.5
6 51 10.5 7 7.2
8 59 12.1 10 10.3
Proximity of neighborhood park Yes 182 37.3 27 27.8
No 306 62.7 70 72.2
Distance to subway station from a library Mean 906.82 760.41
S.D 546.31 488.03
Max 1841.23 1841.23
Min 203.50 203.50
Distance to bus stop from a library Mean 95.11 98.32
S.D 36.91 33.91
Max 143.96 143.96
Min 35.16 35.16
Female Male 222 45.5 33 34
Female 264 54.1 64 66
Missing 2 0.4 0 0
Age 10s 93 19.1 0 0
20s 90 18.4 2 2.1
30s 89 18.2 21 21.6
40s 102 20.9 53 54.6
50s 57 11.7 15 15.5
60s 27 5.5 3 3.1
Over 70s 28 5.7 3 3.1
Missing 2 0.4 0 0
Education Elementary 48 9.8 0 0
Middle 52 10.7 0 0
High 84 17.2 13 13.4
University 265 54.3 73 75.3
Graduate 31 6.4 11 11.3
Missing 8 1.6 0 0
Travel time(min) ≤ 10 118 24.2 25 25.8
10-20 178 36.5 32 33.0
20-30 121 24.8 25 25.8
30-60 56 11.5 10 10.3
≥ 60 13 2.7 5 5.2
Missing 2 0.4 0 0
Culture program Yes 151 30.9 48 47.5
No 337 69.1 53 52.5

Table 4.

Regression result

Variables Model 1
(Socio-demographic Model)
Model 2
(Socio-demographic and Facility Model)
Model 3
(Advanced Model)
Model 3-1
(Advanced Model:Parents)
B Wald B Wald B Wald B Wald
***:p-value<0.01
**:p-value<0.05
*:p-value<0.10
Intercept_1 -6.109 *** 83.532 -3.762 *** 21.849 -4.062 *** 16.520
Intercept_2 -3.810 *** 96.747 -1.471 ** 6.080 -1.771 ** 4.445 0.154 0.004
Intercept_3 -1.409 *** 17.225 1.010 * 3.007 0.716 0.748 2.304 0.932
Intercept_4 0.186 0.312 2.701 *** 20.657 2.413 *** 8.345 3.954 2.700
Control variabl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0.049 0.137 0.053 0.134 0.051 0.145 0.271 0.384
Age -0.213 *** 11.660 -0.154 ** 0.066 -0.151 ** 5.164 -0.308 1.383
Education -0.133 2.189 0.009 0.100 0.024 0.055 0.822 * 3.842
Travel time 0.017 0.043 0.021 0.088 0.021 0.056 0.017 0.009
Culture Program 0.323 2.615 0.473 ** 0.206 0.471 ** 5.153 -0.198 0.233
 Facility Characteristics
Indoor/Outdoor
activity space for
children
0.634 *** 34.807 0.645 *** 35.270 0.660 ** 5.641
Space inefficiency 0.020 0.142 -0.031 0.166 -0.101 0.268
Independent variables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Proximity of a neighborhood park 0.117 0.394 0.838 * 2.833
Distance to subway station from a library 1.3E-04 0.646 -2.06E-04 0.226
Distance to bus stop from a library -0.003 0.844 -0.007 0.729
N 468 457 457 94
X2 24.932*** 58.519*** 60.703*** 16.595*
Cox & Snell 0.052 0.120 0.124 0.162
Nagelkerke 0.056 0.131 0.135 0.175
McFadden 0.021 0.050 0.052 0.068